건설정책리뷰

건설정책리뷰는 건설업 및 전문건설업의 현안을 해결하고 정책수요와 정책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는 연구입니다.

국가 및 지방계약법상 공사비 관련 이의신청제도 입법 개선 방안 연구

저자 홍성진, 이경태 페이지 수 40 page
발행일 2024-12-23 시리즈 번호 -
첨부파일

 

국가 및 지방계약법상 공사비 관련 이의신청제도 입법 개선 방안 연구

 

▣ 작성자: 홍성진, 이경태

 

▣ 연구배경 및 목적

○ 최근 정부는 중소기업의 입찰부담 경감을 위하여 계약담당공무원의 단가 산출내역을 공개하도록 (계약예규)「공사입찰유의서」개정

  - 2025. 01. 01. 시행

○ 그러나 “국가 및 지방계약법”과 개정된 (계약예규)「공사입찰유의서」의 관계에서 이의신청의 가능성 여부, 이의신청의 실제 적용 여부, 이의신청과 단가산출서 공개의 예외의 정합성 여부에 대해서는 한계 노출

○ “국가 및 지방계약법”상 기초금액을 중심으로 공사비 관련 이의신청 제도의 입법 개선안 제시

 

▣ 연구방법 및 기간

○ 문헌연구 및 법제 분석

○ 판례 및 FGI의 사례 분석

○ 전문가 자문

○ 연구기간: 2024. 03. 01 – 2024. 11. 30.

 

▣ 연구내용

○ 국가 및 지방계약법상 계약 관련 이의신청 내용

  - 국가 및 지방계약법상 계약 관련 주요 내용

  - 국가 및 지방계약법상 이의신청 주요 내용

○ 국가 및 지방계약법상 공사비 관련 이의신청 실태 및 한계

  - 국가 및 지방계약법상 공사비 관련 이의신청 실태

  - 국가 및 지방계약법상 공사비 관련 이의신청 한계

○ 국가 및 지방계약법상 공사비 관련 이의신청제도 개선 방안

  - 국가 및 지방계약법상 공사비 관련 이의신청제도 개선 방향

  - 국가 및 지방계약법상 공사비 관련 이의신청제도 입법 개선안

    * 이의신청 대상에 ‘단가산출서 공개’ 관련 기초금액・예정가격의 적정성을 포함하는 관련 입법 개정안 제시

    * 공사계약의 경우에도 ‘계약내용 사전공개’ 도입을 위한 입법 개정안 제시

    * 단가산출서 공개에 대한 예외와 이의신청 금액 요건의 예외를 체계적으로 규정하는 관련 입법 개정안 제시

 

▣ 기대효과

○ 공공공사 관련 기초금액의 저가・과소설계 예방 및 중소건설업체의 입찰 부담 완화

  - 기초금액 산정 관련 행정조달시장의 투명성 확보

  - 발주기관과 입찰자의 이해관계 조정을 위한 이의신청제도 실효성 확보

 

내용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