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로 보는 건설시장과 이슈
분기별 건설·주택·전문건설 시장 및 생산요소 동향과 전망의 심도 있는 분석과 시장 주요이슈 제시
지표로 보는 건설시장과 이슈 (제8호)
저자 | 박선구, 권주안, 이은형 | 페이지 수 | 7 page |
---|---|---|---|
발행일 | 2022-12-29 | 시리즈 번호 | - |
첨부파일 |
요약
지표로 보는 건설시장과 이슈 (제8호)
▣ 연구과제 : 지표로 보는 건설시장과 이슈(2022년 12월 제8호)
▣ 연구배경 및 목적
• 분기별 건설·주택·전문건설시장 및 생산요소 동향과 전망의 분석과 주요 이슈 진단
▣ 연구방법
• 지표에 근거하여 거시, 건설 및 전문건설, 주택시장과 인력, 자재, 장비 등 생산요소의 동향과 전망 종합
• 통계분석 및 시장조사에 의한 주요 시장이슈 진단
▣ 2022년 시장평가
[ 건설시장 ]
• 공사비 상승, 자금시장 경색, 이익률 악화 등으로 건설경기 부진
• 착공물량 감소로 2022년 건설투자는 약 3% 감소할 전망
[ 전문건설시장 ]
• 수익성 악화, 업체수 증가 등으로 실질 계약액 증가율은 미미한 수준
• 전문건설업 체감경기 악화로 SC-BSI는 3년 이래 최저치 기록
[ 주택시장 ]
• 거래절벽이 심화되는 가운데, 미분양이 확산되고 있어 경착륙 우려
• 금리상승, 수요위축 등으로 가격 하락폭이 확대되며 시장위험 확대
▣ 2023년 시장전망
[ 건설시장 ]
• 공공투자 부진, 민간투자 위축으로 건설경기 부진이 지속될 전망
• 2023년 건설투자는 0.4% 감소할 전망이며, 2024년 이후 회복국면 예상
[ 전문건설시장 ]
• 건설경기 악화, 이익률 감소 등으로 전문건설업 경기 부진 지속
• 전문건설업이 처한 위기 타계를 위해 정책적 지원과 관심 절실
[ 주택시장 ]
• 시장 침체로 수도권 아파트 기준 매매/전세가격은 4% 내외 하락 전망
• 하반기 저점에 도달할 수 있으나, 이후 L자형 횡보 예상
목차
내용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