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는 이론적·학술적 기초가 되는 연구로서 건설산업의 중·장기적 정책 대응을 위한 연구입니다.

新기후변화협약에 따른 건설산업의 대응방안 조사연구

저자 정대운, 유일한 페이지 수 - page
발행일 2018-06-07 시리즈 번호 -
첨부파일

 

연구과제: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건설산업의 대응방안 조사연구


 

작성자: 정대운, 유일한


     

연구배경 및 목적 

 

파리협정을 통해 온실가스의 자발적 감축목표(NDCs)에 대한 법적 구속력과 투명성이 강화되고 국내 기후변화 대응정책은 주요 선진국에 발맞춰 목표와 전략이 마련되고 있고, 특히 에너지 분야에 집중되어 실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건설산업과 관련된 기후변화 대응방안을 포괄적으로 조사분석하고 각 부문별 주요 건설사업과 기후변화협약 대응 건설산업의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방법 및 기간  

 

문헌연구  

연구기간: 2017. 5. 2018. 4.

 

       

연구내용  

 

기후변화와 기후변화협약의 정의 및 발생원인  

  - 파리협정을 통해 온실가스의 자발적 감축목표(NDCs)에 대한 법적 구속력과 투명성이 강화되었다.  

  - 국내 기후변화 대응정책은 주요 선진국에 발맞춰 목표와 전략이 마련되고 있고, 특히 에너지 분야에 집중되어 실행되고 있다.    

 

기후변화와 건설산업의 관계와 사업동향  

  - 건설산업은 기후변화와 관련된 다양한 산업의 기초단계에 해당되며, 건물부문에서는 운용단계의 에너지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 에너지, 도시, 건물, 교통, 안전, 장비자재로 구분하여 기후변화와 관련된 건설사업 Full List를 작성하고 사업동향을 살펴보았다.  

 

기후변화협약 대응 주요 건설사업 도출  

  - 산업부문별로 각각의 정책들에 따라 수반되는 건설사업의 세부정책이 연계되어야 한다.  

  - 주요 건설사업 도출을 위한 기준은 친환경성, 경제적 효율성, 기술적 효율성, 융합성, 시장 확대성으로 선정한다.  

  - 기후변화협약 관련 주요 건설사업은 크게 에너지, 도시, 건물, 교통, 안전, 장비자재로 분류하여 총 6개 부문, 20개 분야, 34개 사업으로 도출하였다.  

 

발전방안 및 결론

 

  - 첫째, 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의 저영향개발(LID) 건설  

  - 둘째, 소규모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의 확대  

  - 셋째, 지역별 맞춤형 신재생에너지 개발  

  - 넷째, 기존 시설을 활용한 에너지 저감 및 생산 전략의 확대  

  - 다섯째, 기후변화 관련 건설산업 통계 데이터를 구축 및 에너지정보관리시스템의 보급 확산  

  - 여섯째, 건설사업의 전문업종별 기후변화 대응 전략 마련  

  - 일곱째, 업계 실무자의 교육·홍보 강화

  

 

기대효과  

 

기후변화협약 대응 주요 건설사업에 대한 (전문)건설업계의 참여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내용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