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기고

대한건설정책연구원과 관련된 보도와 기사 자료입니다.

[대한전문건설신문] 주거용 착공, 올해 44% 격감··· 감소폭은 줄어 진정세

작성자 RICON 날짜 2025-06-16
첨부파일

[기고] 주거용 착공, 올해 44% 격감··· 감소폭은 줄어 진정세

 

* 보   도 : 대한전문건설신문, 2025년 6월 16일(월), 건정연의 건설 톺아보기 

* 작성자 : 박선구 경제금융연구실장


■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의 ‘지표로 보는 건설동향’

건설수주, 토목이 40%↓ 부진 견인
기성은 당분간 감소 이어질 듯
공사비지수, 올해 0.7% 소폭 올라
5월 건설업 BSI지수 49 침체 심화
새 정부, 경기진작에 본격 나서야


건설시장 월간 동향을 평가하기 위해 통계청, 국토교통부, 한국은행 등에서 발표하는 주요 건설지표를 살펴본다. 현 시점에서 가장 최신 자료인 2025년 4월 말 통계를 기준으로 건설시장 동향을 알아보고, 그 시사점을 정리한다.

 

1. 건설수주
 

건설시장 내 금액기준 선행지표인 건설수주는 4월 17.5% 줄어들었으며, 올해 누계로도 4.3% 감소했다. 4월까지 공종별 건설수주는 건축이 13.3% 증가했으나, 토목이 39.7% 급감하며 전체 건설수주 부진의 원인이 됐다. 발주자 측면에서 민간은 1.4% 증가한 반면 공공은 20.2% 감소했다. 향후 수주상황을 지켜봐야 하나 4월까지 수주실적은 부진한 상황이다.

2. 건설기성

 

금액기준 동행지표인 건설기성은 작년 4.7% 감소세에 이어 올해는 그 감소폭이 더욱 커져, 1월부터 4월까지 건축과 토목 기성 모두 연속적으로 급감했다. 특히 4월 누계 건설기성은 21.0% 줄어들어 1998년 3분기 이후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건설기성은 현재 진행 중인 공사의 실적을 보여주는 지표로 건설기업의 단기 실적 악화는 물론 고용 감소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하반기 이후 건설기성의 감소폭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나, 2023년까지 누적된 선행지표 부진을 감안하면 감소세는 연간 지속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3. 건축허가면적

2023년과 2024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던 건축허가는 올해에도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특히, 1월부터 4월까지 지속적으로 저조한 실적을 기록했으며, 4월 누계 기준으로는 21.4%나 줄어들었다. 세부적으로 주거용과 상업용 건축허가가 각각 22.2%와 17.4% 감소하며 부진을 주도했다. 

당초 올해 건축허가는 그간의 부진에 따른 기저효과로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4월까지의 감소세는 건설수요와 시장심리의 회복이 여전히 미진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4. 건축착공면적

건축착공은 2022년부터 2023년까지 큰 폭으로 감소한 뒤 작년 18.6% 증가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그러나 착공은 올 4월까지 다시 22.5% 줄어들면서 현재 건설경기 부진을 대변하고 있다. 특히 비중이 큰 주거용 착공이 44.2% 감소하면서 전체 부진을 이끌었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월별 감소폭이 줄었다는 것이다. 1월 37.8%, 2월 44.7% 감소했던 착공은 3월과 4월에 각각 5.9%, 4.9%로 감소하며 진정되는 모습이다.

5. 건설공사비지수

자재비와 인건비로 측정되는 건설공사비지수는 상승률로 보면 안정화 단계에 들어선 것으로 판단된다. 올해 4월까지 건설공사비는 전년말 대비 0.7% 상승했다. 다만 글로벌 보호무역 기조가 커지고 있다는 점에서 가격 안정화 노력과 함께 자재수급 안정화에 초점을 두고 대비할 필요가 있다.

6. 건설업 BSI지수

건설기업 업황 심리를 나타내는 BSI지수는 건설경기 부진의 장기화에 따라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작년 건설업 BSI지수 평균은 51에 불과하며, 이는 이전과 비교하면 10~20 이상 감소한 수준이다. 올해 BSI지수는 여전히 낮은데 5월 조사에서 49를 기록했다. 건설경기가 부진하다는 점에서 BSI지수는 지지부진할 가능성이 높다. 

7. 종합 및 시사점

건설시장의 부진이 장기화되고 있다. 민간 건축경기가 침체된 가운데 공공 중심의 토목경기마저 위축된 모습이다. 건설시장 내 물량 자체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정부를 중심으로 시장에 온기를 불어넣을 필요가 있다. 다행히 새 정부는 경기진작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추경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건설경기 침체를 방치할 경우 기업도산은 물론 성장률 둔화 등 부정적 파급효과가 커질 수밖에 없다. 절박한 심정으로 새로운 건설수요 활로를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 원본기사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