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기고

대한건설정책연구원과 관련된 보도와 기사 자료입니다.

[대한전문건설신문] 7월 수주·착공면적 반등 불구 기성 줄어 건설불황 지속

작성자 RICON 날짜 2024-09-16
첨부파일

[기고] 7월 수주·착공면적 반등 불구 기성 줄어 건설불황 지속

 

* 보   도 : 대한전문건설신문, 2024년 9월 16일(월), 건정연의 건설 톺아보기 

* 작성자 : 박선구 경제금융연구실장


■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의 ‘지표로 보는 건설동향’

반등도 작년 대비 기저효과 그쳐
기업 BSI 올해 한 번도 60 못 넘겨
부동산PF 먹구름 걷히는 게 관건


건설시장 월간 동향을 평가하기 위해 통계청, 국토교통부, 한국은행 등에서 발표하는 주요 건설지표를 살펴본다. 여기서는 2024년 7월 말 통계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1. 건설수주

건설시장 내 금액기준 선행지표인 건설수주는 올해 상반기 0.1% 증가하는데 그쳤으나, 7월에는 28.4%로 비교적 크게 반등했다.

전년도 7월 수주가 평년에 비해 낮았다는 점에서 기저효과 영향이 크나, 선행지표가 개선되고 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이라 평가할 수 있다. 지난해 건설수주가 18.5% 감소했다는 점에서 올해 수주는 전년도에 비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2022년 수준에는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2. 건설기성

금액기준 동행지표인 건설기성은 상반기 0.7% 증가했으며, 7월 들어서는 5.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토목부문이 4.1% 증가한 반면 건축부문은 7.5% 감소했다. 건축착공물량이 2022년부터 크게 줄어들었다는 점에서 건축부문을 중심으로 건설기성의 부진은 한동안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시차효과를 고려하면 2025년 상반기까지 건설기성의 약세가 예상된다.

3. 건축허가면적

건축허가면적은 물량기준 대표적인 선행지표이다. 건축허가면적은 상반기에 18.7% 감소했으며, 7월 들어서도 0.9% 증가에 그쳐 올해 누적 16.6%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용도별로는 주거용과 비주거용 모두 감소하고 있으며, 7월에는 주거용을 중심으로 소폭 반등했다.

올해 하반기로 갈수록 건축허가면적의 감소폭은 줄어들 것으로 보이나, 전체적으로 부진이 예상된다. 

4. 건축착공면적

건설수주와 건축허가가 미실현 물량인데 비해 건축착공은 실현물량이라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중요성이 큰 지표이다. 상반기 건축착공면적은 6.1% 증가했으며, 7월에도 39.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축허가면적이 2년간 큰 폭으로 감소했다는 점에서 기저효과에 따라 수치상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건축착공면적은 작년에 비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물량 측면에서 과거 평년 수준까지 회복할 가능성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5. 건설공사비지수

자재비와 인건비로 측정되는 건설공사비지수는 올해 7월까지 누적 1.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최근 몇 년간 가장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특히 공사비지수는 6월과 7월에는 오히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 당분간 안정화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국제 원자재가격이 하락하고 있고 건설공사 수요 역시 크지 않다는 점에서 안정화 추이는 하반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6. 건설업 BSI지수

건설업체 업황 심리를 나타내는 건설업 BSI지수는 건설경기 부진으로 지속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특히 올해 들어 BSI지수는 60을 넘긴 경우가 한 차례도 없으며, 3월 이후로는 50 수준에 불과한 상황이다. BSI지수 평균이 2021년 74.7, 2022년 71.8, 2023년 63.1이라는 점에서 건설기업 심리 악화가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부동산PF 관련 불확실성이 해소되기 전까지 상승세는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7. 종합 및 시사점

종합해보면 건설수주, 건축착공면적 등 선행지표는 반등하고 있으나, 건설기성과 같은 동행지표는 감소세로 전환된 상태이다. 선행지표의 반등은 지난해 부진의 기저효과이며, 동행지표의 부진은 수주와 착공 감소의 시차효과인 것으로 판단된다.

하반기에도 건설지표는 선행지표의 반등과 동행지표의 부진 추이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8월 말에 발표된 한국은행의 수정 전망에 따르면 건설투자는 내년까지 마이너스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입주물량 축소와 공사물량 위축이 주요 요인으로 지목된다. 건설경기 회복세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부동산PF 불확실성이 빠르게 해소될 필요가 있다. 

 

☞ 원본기사 바로가기